분류 전체보기79 직장인 방구석 취미 생활! DIY 모음 (명화그리기,보석십자수 외) 안녕하세요! 이브의 쇼룸의 이브입니다 :) 오늘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을 가지고 와봤어요 ! 멀리나가지 않아도 굳이굳이 시간내지 않아도, 준비하고 나가지 않아도 집에서 만나볼수 있는 취미생활. 온전히 나만을 위한 시간으로 취미생활을 하며 보내는건 어떠신가요? 최근에는 정말 다양한 취미생활을 DIY로 할 수 있답니다. 나만의 작품을 만든다는 점과, 이 세상에 단 하나뿐이라는 점, 그리고 온전히 나만을 위해 쓰는 시간이라는 점 등 집에서 편하게 즐길수 있다는 것 또한 큰 장점이 되죠. 저는 DIY 를 집에서 취미생활로 즐기면서 하나의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만들었어요. DIY에 집중해서 취미생활을 하다보면 잡념이 사라지고 온전히 집중할 수 있어서 스트레스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 여러분들도 이번 기회에.. 2023. 3. 26. 부동산 투자 명언/격언 모음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부동산 투자 명언 1. 숲을 먼저 보고 나무를 보라. 2. 부동산투자에서는 부동(不動)이 최대의 적(敵)이다. 3. 움직이지 않는 부동산에는 손을 대지 마라. 4.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라. 5. 달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6. 오르지 않는 부동산부터 팔아라. 7.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팔아라. 8. 남이 팔 때 사고 남이 살 때 팔아라. 9. 건물은 손을 볼수록 고와진다. 10. 부동산은 발로 사라. 11. 정책에 맞서지 마라. 2021. 2. 3. 부동산 투자의 장점과 단점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부동산투자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상각자산으로서 절세효과가 있다. ◎ 인플레 헷지 효과가 있다. ◎ 자본이득의 획득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 담보활동으로 자금조달을 할 수 있다. ◎ 투자시 공간 이용이 가능하다. ◎ 소유로서 심리적인 만족감이 있다. ◎ 물리적 안정성이 있다. 단 점 ◎ 비유동적이다. ◎ 투자관리가 크다. ◎ 투자기간이 장기적이다. ◎ 수익획득이 경영자의 능력에 좌우된다. ◎ 정보의 비공개성이 크다. ◎ 대체가능한 부동산이 적다. ◎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크다. ◎ 투자의사결정과정이 복잡하다. ◎ 장애수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 2021. 2. 2. 부동산 투자의 육하원칙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부동산투자의 육하원칙 1. Why-투자목적이 무엇인가? -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투자목적이다. -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의 토대인 의.식.주에 속하는 주거의 공간은 부동산의 하나로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주거 공간으로서의 부동산을 단지 내 집 장만으로서의 목적인지, 아니면 임대 수익을 위해서인지, 혹은 노후를 위한 투자인지 등에 대한 목적인식이 분명해야 한다. 2. What- 필요한 부동산은? - 투자목적이 정해졌다면 자신에게 필요한 부동산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 예컨대 토지, 아파트, 상가 그 중에서도 높은 안정적인 아파트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수요층이 큰 테마상가나 주상복합건물을 선택할 것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모아서 필요.. 2021. 2. 1. 부동산투자할때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행동! BEST10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부동산투자에서 절대 해서는 안되는 것 10계명 1. 묻지마 투자는 절대해서는 안 된다. - 부동산은 사두기만 하면 돈이 된다(Buy and Holding)는 잘못된 인식으로 일부 시민들은 그릇된 부동산 개발정보와 과도한 대출로 묻지마 투자를 하던 시절이 있었다. - 1960, 1970년만 하더라도 대기업들은 금융기관의 대출과 여유자금만 있으면 묻지마 투자식으로 땅(비업무용토지)을 사들이기 시작한 시절이 있었다. - 그러나 이 당시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던 시절이라 별 문제가 없었지만 그렇지가 못하다. 2. 주관적 판단은 피해라. 부동산을 취득할 시 투자자 자신의 느낌보다는 전문가의 객관적 판단에 따르는 게 좋다. 3. “부동산! 무조건 사두면 오른다”.. 2021. 1. 31. 2021년 서울시청년월세지원 자주묻는질문 Q&A Q1. 본인 외의 다른 사람이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나요? - 본인이 직접 온라인 신청해야 합니다. Q2. 신청 완료 후에 수정이 가능한가요? - 접수기간 내에는 수정이 가능합니다. Q3. 올해 신청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했는데 내년에 신청할 수 있나요? - 연도별 지원 계획은 2021년 2만명, 2022년 2만명 지원 예정입니다. Q4. 임대차계약서상 건물 소재지에 언제부터 주민등록이 되어있어야 하나요? - 공고일 이전에 주민등록이 등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이후에 서울시 내에서 민간 건물 월세로 이사를 할 경우에는 변경신고를 하면 계속 지원 됩니다. Q5. 실제 거주는 서울, 주민등록은 경기도로 되어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 받을 수 있나요? -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 2021. 1. 30.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