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부동산투자에서 절대 해서는 안되는 것 10계명
1. 묻지마 투자는 절대해서는 안 된다.
- 부동산은 사두기만 하면 돈이 된다(Buy and Holding)는 잘못된 인식으로 일부 시민들은 그릇된 부동산 개발정보와 과도한 대출로 묻지마 투자를 하던 시절이 있었다.
- 1960, 1970년만 하더라도 대기업들은 금융기관의 대출과 여유자금만 있으면 묻지마 투자식으로 땅(비업무용토지)을 사들이기 시작한 시절이 있었다.
- 그러나 이 당시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던 시절이라 별 문제가 없었지만 그렇지가 못하다.
2. 주관적 판단은 피해라.
부동산을 취득할 시 투자자 자신의 느낌보다는 전문가의 객관적 판단에 따르는 게 좋다.
3. “부동산! 무조건 사두면 오른다”는 이 말은 이제는 잘못된 말이다.
- 부동산을 무조건 사들인다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며,
- 한번 잘못 사들인 부동산은 시장에서 제 때 유통시키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물건보다는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하고 의뢰한 고객들은 대개 가격 조정으로 인한 한 번의 손해를 더 감수해야 한다.
4. 과도한 대출을 낀 부동산투자는 하지 마라.
지렛대의 원리인 레버리지 효과를 노리는 것도 부동산투자의 한 방편이지만 과도한대출로 후일 금리인상 등으로인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5.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알면 돈이 보이기 때문에 절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립되는 투자를 하지 마라.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따른 투자 전략을 준비하는 게 필요한 것이지,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맞선다는 것은 계란 들고 바위치기나 마찬가지이다.
6. 남이 하니까 나도 하는 군중심리 투자는 금물이다.
7. 사고, 팔고를 너무 자주 하지 마라.
부동산은 거래비용이 많이 든다.
때문에 소문만 믿고 단기간에 사고, 팔기를 반복하는 투자자들이 큰돈을 벌 것 같지만, 실상은 장기 투자자들 보다 투자 수익률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8. 돈 안 되는 부동산은 사지 마라.
- 절대 돈 안 되는 부동산은 사지 말아야 한다.
- 우리 속담에 싼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선은 싸다고 덥석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은 금물이다.
9. 배우자와 협의하지 않는 일방적 투자는 하지 마라.
부동산이건 주식이건 투자를 하기 전 이상적인 방법은 가정의 행복을 위해 부부 양측의 의견을 합치해 결정하는 것이다.
10. 불확실한 정보를 믿고 투자해서는 안 되며, 절대 앞서 가지 마라.
- 현재는 개발 미정이지만 재개발이나 뉴타운, 철거 가옥지 등 개발 지역으로 확정될 거라는 소문을 믿고 투자하는 경우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 또한 부동산투자를 함에 있어서 절대 앞서 가지 말라.
초기에 뛰어 들어서 금융 부담을 키울 필요가 없다.
- 값이 내린다고 해서 서둘러 샀다가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 본전도 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 물론 확신만 있다면 앞서가는 것이 나쁘지는 않으나, 자신이 선두주자가 되는 것보다는 한발 뒤에서 따라가는 것이 좋다.
'이브의 매거진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의 육하원칙 (0) | 2021.02.01 |
---|---|
2021년 서울시청년월세지원 자주묻는질문 Q&A (0) | 2021.01.30 |
부동산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 (0) | 2021.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