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탄에 이어 2탄입니다.
총 5탄으로 되어 있으니 1탄부터 5탄까지
보시면 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출처는 아래의 한 줄 심리학 책입니다.
문제 시 댓글 남겨주세요 :)
■ 자아관여
어떤 일에 '내가 관여하고 있다'라는 마음을 갖는 것을 말한다.
자신이 깊이 관여한 일에는 그만큼 신경을 많이 쓰게 된다.
부탁을 하거나 물건을 빌림으로써 자신에 대한
상대의 '자아관여 정도'를 높이면 호의를 얻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 자기 드러내기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 '자기소개'를 시작으로 최종적으로는
약점까지 포함해서 '자신에 관한 정보를 솔직하게
상대방에게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타인과 친해지려면 자기 드러내기의 과정이 꼭 필요한데,
이는 상대의 사람됨을 알게 됨으로써
서로의 심리적 거리가 줄기 때문이다.
■ 동조행동
개인이 집단의 규범이나 다수의 행동 패턴에 영향을 받아 행동하는 양식.
심리학에서 말하는 '동조'는 집단 안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주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려고 마음쓰는 것을 일컫는다.
SNS에서 무의식적으로 '좋아요'를 누르는 것도 동조 행동의 일종이다.
■ 동조댄스
친한사람끼리 이야기 할 때 웃거나 고개를 끄덕이거나
시선을 마주치는 등의 동작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한쪽이 몸짓을 많이 섞어가며 이야기를 하는 데
다른 한쪽이 몸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경우,
즉 '동조 댄스를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당신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다'는
무언의 사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스톱법
미국의 심리학자 스톨츠가 고안한,
부정적 감정을 끊어내기 위한 방법.
의기소침하여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때는 '스톱'을
외쳐서 감정을 발산시키면 도움이 된다.
꼭 멈추라는 소리가 아니어도 좋다.
자기 나름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만들기만 하면 된다.
다른 말로 '사고중단법'이라고도 한다.
■ 신체상 경계
자신의 몸에 대한 심상과 외부의 세계를 구분하는 경계를 말한다.
외부의 적에게서 자신을 지키는 갑옷과 같은 것이다.
사람이 몸에 무언가를 걸치면 신체상 경계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화려한 패션을 좋아하는 사람은 이 신체상 경계가 부족하거나 약할 가능성이 있다.
자신의 갑옷을 믿지 못해서 화려한 복장으로 보강하는 것이다.
■ 부메랑 효과
설득하면 할수록 설득 당하는 쪽이 반발하여
역효과가 나는 현상.
이제부터 공부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을 때
어머니가 '공부좀 해라'라고 말하면
갑자기 공부하기 싫어지는 것 역시 부메랑 효과의 일종이다.
서로의 관게가 깊을수록 부메랑 효과에 의한 저항도 커진다.
■ 프레이밍 효과
기준이 되는 관점을 바꾸면 즉 동일한 사안을
다르게 제시하면 선택이나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
생존율 90%와 사망률 10%는 결국 같은 뜻이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의 해석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좋은 결과를 강조하는 관점을 '긍정적 프레임'
나쁜 결과를 강조관점을 '부정적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 구 매 링 크 ◆
출근할 때마다 자신감이 쌓이는 한 줄 심리학
COUPANG
www.coupang.com
'이브의 매거진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용어 3탄. 홀랜더의 책략,소수의 영향,매칭가설,미러링,링겔만 효과 등 (0) | 2020.12.19 |
---|---|
심리학 용어 1탄. 메라비언법칙, 모델링, 고슴도치 딜레마, 낮은 공 기법 등 (0) | 2020.12.18 |
조현병이란 ? 초기증상과 치료방법 (0) | 2020.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