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오늘은 부동산 시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특성
● 부동산 시장의 특성 ●
부동산 시장이란 부동산권리의 교환, 가격의 결정, 경쟁적 이용에 따른 공간의 합리적 배분, 수요 공급의 조절이 이루지는 추상적인 공간이다.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을 대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동산 자체의 특성에 기인하여 일반재화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1) 수급조절의 난이성
부동산의 공급에는 상당기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수요의 변화에 대하여 공급이 단기적으로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가격 왜곡현상이 발생한다. 초과이윤과 저평가된 것을 “가격왜곡"이라 한다.
(2) 시장의 국지성(지역성)
부동산시장은 부동성(위치의 고정성)에 의해
지역화, 국지화 되어 있다.
① 시장의 분화(Sub-Market) :
- 부동산 시장을 용도.권리형태.지역별로 세분화하여 본다면 부동성의 특성에 의해 지역화.국지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 용도의 다양성으로 주거용.상업용.공업용으로 구분
- 영속성이나 내구성에 의해 소유(자가)와 임대차(차가)의 형태로 구분
② 시장의 불균형 : 시장의 분화는 부분시장별로 수급상의 불균형을 초래
(3) 시장의 불완전성
① 위치의 고정성(부동성)에 의해 수요에 따른 공급의 이동이 제한된다.
② 토지의 영속성이나 건물의 내구성에 의해 수요가 감소해도 기존의 공급량은 감소시키기 어렵다.
③부동산은 고가성에 의해 수요자와 공급자의 시장진입과 탈퇴가 자유롭지 못하다.
(4) 법적 제한으로 인한 시장조절기능의 저하
(5) 자금의 유용성과 밀접한 관계, 거래의 비공개성, 매매기간의 장기성, 시장의 비조직성
'이브의 매거진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의 자연적 특성과 인문적 특성, 건물의 특성 (부동성,영속성,부증성,개별성,인접성 등) (0) | 2021.01.18 |
---|---|
부동산 건물의 분류:일반건축물,특수건축물,수익성건물,비수익성건물,단독건물,공동건물(아파트, 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 (0) | 2021.01.18 |
부동산이란? 부동산의 개념 (법률적,경제적,기술적측면) (0) | 2021.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