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좋음빛 입니다 :)
오늘은 부동산의 기본 중의 기본!
바로 부동산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정의 부터 법률적 측면,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부동산은 어떤 의미인지 조금 더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의 개념
1. 부동산의 정의
물건인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민법 제98조) 중에서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이고,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이다(민법 제99조)라고 규정한다.
2. 법률적 측면에서의 부동산
토지와 그 정착물이 부동산이지만 법률상의 취급에 있어서 오늘날 부동산과 구분되는 차이는 주로 거래상의 공시수단에 있다고 볼 수 있다.
(1) 협의의 부동산 : 토지 및 그 정착물
(2) 광의의 부동산 : 토지 및 그 정착물+의제부동산(준부동산)
(3) 복합부동산 : 토지와 그 토지 위의 정착물이 각각 독립된 거래의 객체이면서도 마치 하나로 결합된 상태로 다루어져 부동산활동의 대상으로 삼을 때
3.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동산
(1) 생산요소 : 부동산 중 토지는 자본.노동과 더불어 3대 요소 중의 하나
(2) 자산 : 부동산은 개인이나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산(Property)중의 하나
(3) 자본 : 부동산 중 토지는 자본의 일종으로도 인식, 경제학에서도 토지를 자본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4) 소비재 : 토지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재화를 생산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생산요소일 뿐만 아니라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최종소비재
4. 기술적(물리적)측면에서의 부동산
(1) 자연 : 부동산 중 토지는 자연물이다. 자연물로서 토지는 일광.강수량.바람.토양 등 여러가지 자연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의 관계에서 그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
(2) 공간 : 공간으로서 토지는 지표라는 단순한 2차원적인 공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지하와 공중을 포함하는 3차원적인 공간을 의미
(3) 위치 : 부동산은 위치에 따라 그 가치가 부동산 이용의 상태가 달라진다.
5. 복합 개념으로서의 부동산
(1) 부동산.부동산현상.부동산활동 등을 둘러싸고 있는 요인에는 법률.사회.심리.행정.건축.지리.경영, 기타 여러가지 측면의 것들이 있어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2) 부동산의 개념을 이들 각각의 단순 측면만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복합적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
6. 투자 대상으로서의 부동산
(1) 부동산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산 중의 하나이다.
(2) 부동산이 거의 유일 한 생산수단이었던 과거는 물론이고, 증권.예금.파생상품 등 각종 금융상품이 발달한 현대에 있어서도 선호 대상로서 부동산의 위치는 확고하다.
'이브의 매거진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시장의 특성 : 시장의 국지성, 불완전성, 시장의 분화, 불균형 등 (0) | 2021.01.18 |
---|---|
부동산 건물의 분류:일반건축물,특수건축물,수익성건물,비수익성건물,단독건물,공동건물(아파트, 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 (0) | 2021.01.18 |
부동산이란? 28개 지목, 토지의 특성 (0) | 2021.01.18 |
댓글